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MongoDB
- cookie
- Python
- MySQL
- GIT
- dfs
- Express
- AWS
- react
- TypeScript
- Bull
- Sequelize
- 게임
- nodejs
- JavaScript
- Nest.js
- Queue
- nestjs
- OCR
- 자료구조
- mongoose
- game
- jest
- 공룡게임
- class
- typeORM
- 정렬
- Dinosaur
- flask
Archives
- Today
- Total
포시코딩
그래프(Graph) 본문
728x90
그래프란?
연결되어있는 원소간의 관계를 표현한 자료구조
비선형 구조는 표현에 초점이 맞춰져있고
선형 구조는 자료를 저장하고 꺼내는 것에 초점이 맞춰져 있는 반면,
그래프 자료구조는 연결 관계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그래프 용어
- 노드(Node): 연결 관계를 가진 각 데이터를 의미. 정점(Vertax)이라고도 한다.
- 간선(Edge): 노드 간의 관계를 표시한 선.
- 인접 노드(Adjacent Node): 간선으로 직접 연결된 노드(또는 정점)
그래프의 종류
- 유방향 그래프(Directed Graph): 방향이 있는 간선을 갖는다.
간선은 단방향 관계를 나타내며, 각 간선은 한 방향으로만 진행할 수 있다. - 무방향 그래프(Undirected Graph): 방향이 없는 간선을 갖는다.
무방향 그래프의 표현방법
1. 인접 행렬(Adjacency Matrix): 2차원 배열로 그래프의 연결 관계를 표현
2 - 3
⎜
0 - 1
이를 인접 행렬, 2차원 배열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0 1 2 3
0 X O X X
1 O X O X
2 X O X O
3 X X O X
이걸 다시 배열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graph = [
[False, True, False, False],
[True, False, True, False],
[False, True, False, True],
[False, False, True, False]
]
2. 인접 리스트(Adjacency List): 링크드 리스트로 그래프의 연결 관계를 표현
인접 리스트는 모든 노드에 연결된 노드에 대한 정보를 차례대로 다음과 같이 저장한다.
0 -> 1
1 -> 0 -> 2
2 -> 1 -> 3
3 -> 2
이를 딕셔너리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graph = {
0: [1],
1: [0, 2]
2: [1, 3]
3: [2]
}
두 방식의 비교
두 방식의 차이는 시간 vs 공간 이다.
인접 행렬로 표현하면 즉각적으로 0과 1이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바로 알 수 있다.
그러나, 모든 조합의 연결 여부를 저장해야 되기 때문에 O(Node2) 만큼의 공간을 사용해야 한다.
인접 리스트로 표현하면 즉각적으로 연결되었는지 알 수 없고, 각 리스트를 돌아봐야 한다.
따라서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알기 위해서 최대 O(Edge) 만큼의 시간을 사용해야 한다.
대신 모든 조합의 연결 여부를 저장할 필요가 없으니 O(Node+Edge) 만큼의 공간을 사용하면 된다.
728x90
'자료구조알고리즘 >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BFS(Breadth First Search) - 너비 우선 탐색 (0) | 2022.11.29 |
---|---|
DFS(Depth First Search) - 깊이 우선 탐색 (0) | 2022.11.29 |
트리(Tree), 힙(Heap) (0) | 2022.11.28 |
해시(Hash) (0) | 2022.11.25 |
큐(Queue) (0) | 2022.1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