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시코딩

[AWS] https 세팅 (기록용) 본문

AWS/EC2

[AWS] https 세팅 (기록용)

포시 2023. 3. 13. 00:29
728x90

개요

일단 난 도메인을 가비아를 통해 구매했고

ec2에 서버를 올려놓은 상태 즉, http://서버ip:포트 로 접속은 되는 상황이었고

프론트와의 연결 문제로 https 를 세팅하기로 결심한 상태였다.

 

결론부터 말하면 잘 되었고 다만, 가비아에서 구매한 도메인이라 그런지

ACM에서 발급 상태가 되기까지 체감상 30분 ~ 1시간 걸렸던 것 같다.

처음에는 1시간 넘게도 안되고 있었는데

 

Route 53에서 호스팅 영역 만들고 -> 나온 NS를 가비아에 도메인에다가 네임서버로 등록 ->

ACM 요청 -> 요청 만든 ACM 들어가서 Route 53에서 레코드 생성 

이 순서로 하지 않아 문제가 된 듯 싶다.

 

아무튼 참고했던 블로그는 총 세개로

https://velog.io/@joo0/AWS-EC2-개인-도메인-HTTPS

 

AWS EC2 + 개인 도메인 + HTTPS

AWS EC2 + 개인 도메인 + HTTPS

velog.io

여기 블로그의 순서를 따르며 디테일한건 다른 블로그를 참고하며 했던 것 같다.

 

ACM 발급 받을 때 검증 대기 중에서 안넘어가는 이유가

외부 도메인이라 따로 결제를 해야되서 그렇다는 지인의 말에

그냥 Route 53에서 싼거 하나 사서 도메인 사용 가능 상태를 기다리고 있는데

그 사이에 검증 대기 중에서 발급 상태로 바뀌어 있었따. 

 

마지막 시도에서 순서를 제대로 해서 그랬던 건지는 몰라도 

좀만 늦었으면 될 뻔한 시도를 또 없애고 돈만 날릴 뻔 했다.

 

나중에 다시 https 인증서 발급할 일이 있을 때 이 글을 참고하며 기억을 떠올리자.

갑자기 드는 궁금증은 aws는 왜 https를 무료로 등록해주는걸까 하는..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