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flask
- Bull
- Express
- nestjs
- 게임
- class
- jest
- nodejs
- 공룡게임
- AWS
- Queue
- 자료구조
- MySQL
- GIT
- JavaScript
- react
- typeORM
- OCR
- game
- TypeScript
- Nest.js
- mongoose
- MongoDB
- 정렬
- Python
- Dinosaur
- dfs
- Sequelize
- cookie
Archives
- Today
- Total
포시코딩
[운영체제] 2. 컴퓨터 시스템의 구조 (2) 본문
728x90
키워드
I/O, DMA, 저장장치, primary, secondary, caching, 프로그램, virtual memory, 커널, code, data, stack, 함수, function
I/O
동기식 입출력(Synchronous I/O)
I/O 요청 후 입출력 작업이 완료된 후에야 제어가 사용자 프로그램에 넘어감
구현 방법 1
- I/O가 끝날 때까지 CPU를 낭비시킴
- 매시점 하나의 I/O만 일어날 수 있음
구현 방법 2
- I/O가 완료될 때까지 해당 프로그램에게서 CPU를 빼앗음
- I/O 처리를 기다리는 줄에 그 프로그램을 줄 세움
- 다른 프로그램에게 CPU를 줌
* 위의 방법대로 진행할 경우 CPU가 놀지않고 일을 할 수 있게 된다.
비동기식 입출력(Asynchronous I/O)
I/O가 시작된 후 입출력 작업이 끝나기를 기다리지 않고 제어가 사용자 프로그램에 즉시 넘어감
공통
두 경우 모두 I/O의 완료는 인터럽트로 알려줌
DMA
(=Direct Memory Access)
- 빠른 입출력 장치를 메모리에 가까운 속도로 처리하기 위해 사용
- CPU의 중재 없이 device controller가 device의 buffer storage의 내용을
메모리에 block 단위로 직접 전송 - 바이트 단위가 아니라 block 단위로 인터럽트를 발생시킨다.
예를들어 키보드에 뭔가를 입력할 때 입력 한글자 한글자 마다 interrupt를 걸게 되면
CPU 입장에서 너무 비효율적인 일을 하게 될 것이다.
DMA Controller에서는 buffer storage에 특정 크기만큼 데이터가 쌓일 때까지 기다린다음
쌓이면 그때서야 interrupt를 걸어 CPU가 interrupt 걸리는 빈도를 줄임으로서 더 효율적으로 일할 수 있게 한다.
서로 다른 입출력 명령어
- CPU에서 실행하는 인스트럭션에는 메모리에서만 실행할 수 있는 인스트럭션이 있고
각 I/O 장치를 접근해야 하는 메모리 인스트럭션과 별개의 인스트럭션이 있다. (일반적) - I/O device들에 메모리 주소르 매겨서 메모리 접근 인스트럭션을 통해 I/O를 할 수도 있다. (Memory Mapped I/O)
저장장치 계층 구조
올라갈수록
- 속도 증가
- 비용 증가(용량이 적어짐)
- 휘발성 증가(위 연두색 배경이 휘발성 매체, 아래 분홍색 배경이 비휘발성 매체)
-> 최근 Main Memory도 비휘발성 매체로 나오고 있기도 하지만 해당 포스팅에선 고려 x
Primary
- CPU에서 직접 접근 가능
- CPU가 직접 접근하려면 바이트 단위로 접근이 가능해야함
- DRAM 메모리 같은 경우는 바이트 단위로 주소를 매겨서 바이트 단위로 접근이 가능
- Executable: 실행 가능하다.
Secondary
- CPU가 직접 접근해서 처리할 수 없음
- 섹터 단위로 접근하기 때문에(바이트 단위로 접근 x) CPU 접근 불가
- 때문에 Executable 하지 않은 매체라고 부름
Caching
- 그림에서 Register는 속도가 빠르고 밑으로 갈수록 속도가 Register에 비해 느리기 때문에 캐싱을 사용한다.
- 재사용이 목적
- 처음 요청 후 두 번째 요청부턴 요청했던 매체까지 가지 않고 읽어놓은 데이터를 재활용함
- 용량에 제한이 있기 때문에 전부 캐싱하지 못하고 어떤걸 유지하고 어떤걸 제외할지에 대한 관리가 필요
(메모리 관리에서 자세히)
프로그램의 실행(메모리 load)
- 프로그램은 실행 파일의 형태로 파일 시스템에 저장되어 있다.
- 실행 파일을 실행시키면 메모리에 올라가 프로세스가 됨
- 메모리에 바로 올라가진 않고 중간 단계를 거침
-> 가상 메모리(Virtual Memory) 단계
Virtual Memory
- 어떤 프로그램을 시키면 해당 프로그램의 메모리 Address space(주소 공간)이 형성된다.
- 0 번째부터 시작하는 그 프로그램만의 독자적인 주소 공간
- code, data, stack으로 구성됨
- code: CPU에서 실행할 기계어 코드를 담고 있음
- data: 프로그램이 사용할 변수, 전역변수 등의 자료구조
- stack: 코드가 함수 구조로 되어있기 때문에 함수를 호출하거나 리턴할 때 사용(call stack 생각)
- 물리적인 메모리에 당장 필요한 부분만 올리는 방식으로 사용(메모리 낭비 방지)
- 당장 필요하지 않은 부분은 Swap Area라는 디스크 공간에 내려놓음
메모리 공간의 한계로 메모리의 연장 공간으로써 사용 - 이렇듯 각각 쪼개져서 메모리, Swap Area에 있기 때문에 Virtual Memory라 부른다.
- Virtual Memory는 각 프로그램마다 독자적으로 가지고 있는 메모리 공간을 의미
- 전원이 나가면 메모리, Swap Area에 있는 정보는 사라짐
- Virtual Memory는 전원이 나가도 사라지지 않음. 비휘발성
- 용도가 다르기 때문에 관리하는 방법도 다르다. (디스크, 스토리지 관리에서 자세히)
Address translation
- 물리적인 메모리에서도 주소가 0 번부터 시작하기 때문에
Virtual Memory의 0 번부터 시작하는 주소를 메모리에 올릴 때 변환해줘야 한다.(주소변환) - 하드웨어 장치의 지원을 받아 주소 변환 계층에서 메모리 주소 변환이 이루어짐
logical(논리적) 메모리 주소가 -> physical(물리적) 메모리 주소로 바뀌는 과정 (메모리 관리에서 자세히)
커널 주소 공간의 내용
code
운영체제의 커널에는
-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코드
-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하기 위해 그와 관련된 코드
- 운영체제는 인터럽트마다 CPU를 얻기 때문에 각각의 인터럽트 처리에 대한 코드
data
- 운영체제가 사용하는 자료구조들이 정의되있음
- CPU, Memory, Disk 같은 하드웨어들을 관리하고 통제하기 위해 하드웨어 종류마다 자료구조를 만들어 관리
- 프로세스(현재 실행중인 프로그램)들을 관리하기 위한 자료구조(=Process Control Block, PCB)
stack
- 운영체제도 함수 구조로 코드가 짜여져 있기 때문에 함수 호출/리턴할 때 스택 영역을 사용
- 사용자 프로그램마다 커널 스택을 따로 두고 있음 (사진 참고)
사용자 프로그램이 사용하는 함수
함수(function)란?
사용자 정의 함수
- 자신의 프로그램에서 정의한 함수(내가 직접 작성한 함수)
라이브러리 함수
- 자신의 프로그램에서 정의하지 않고 갖다 쓴 함수(누군가 만들어놓은 함수)
- 자신의 프로그램의 실행 파일에 포함되어 있음(사용자 정의 함수도 같이)
커널 함수
- 운영체제 프로그램의 함수
- 프로그램 안에서 가져다 사용 가능 (커널 함수의 호출 = 시스템 콜)
- 내 프로그램 안에 포함된 함수가 아닌 커널 코드 안에 들어있는 함수
728x90
'CS (Computer Scien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운영체제] 3. 프로세스 관리 (2) - Thread (0) | 2023.04.28 |
---|---|
[운영체제] 3. 프로세스 관리 (1) - Process (0) | 2023.04.20 |
[운영체제] 2. 컴퓨터 시스템의 구조 (1) (0) | 2023.04.20 |
[운영체제] 1. 운영체제란 (0) | 2023.04.19 |
[운영체제] 0. 시작 (0) | 2023.04.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