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Tags
- cookie
- AWS
- Python
- MongoDB
- Express
- jest
- class
- 정렬
- react
- MySQL
- JavaScript
- Bull
- Queue
- 자료구조
- typeORM
- Nest.js
- nodejs
- GIT
- nestjs
- 게임
- dfs
- OCR
- mongoose
- Sequelize
- game
- Dinosaur
- 공룡게임
- flask
- TypeScript
Archives
- Today
- Total
포시코딩
[백준][위상 정렬][힙] 1766 - 문제집 본문
728x90
위상 정렬이란?
순서가 정해져 있는 작업을 차례로 수행해야 할 때, 순서를 결정해주는 알고리즘
최소힙인 heapq를 통해 위상 정렬 알고리즘을 구현할 수 있다.
시간복잡도
O(V+E)
V: 노드(=Vertex)
E: 간선(=Edge)
문제
https://www.acmicpc.net/problem/1766
1766번: 문제집
첫째 줄에 문제의 수 N(1 ≤ N ≤ 32,000)과 먼저 푸는 것이 좋은 문제에 대한 정보의 개수 M(1 ≤ M ≤ 100,000)이 주어진다. 둘째 줄부터 M개의 줄에 걸쳐 두 정수의 순서쌍 A,B가 빈칸을 사이에 두고 주
www.acmicpc.net
코드
import heapq
N, M = map(int, input().split())
arr = [[] for _ in range(N+1)] # 인덱스(노드)에 연결된 노드들
indegree = [0] * (N+1) # 인덱스(노드)에 연결된 간선의 개수
for _ in range(M):
x, y = map(int, input().split())
arr[x].append(y)
indegree[y] += 1
# heapq에 들어가는 조건 -> 연결된 간선의 개수가 0인 노드들
heap = []
for i in range(1, N+1):
if indegree[i] == 0:
heapq.heappush(heap, i)
while heap:
target = heapq.heappop(heap)
print(target, end=' ')
for i in arr[target]:
indegree[i] -= 1
if indegree[i] == 0:
heapq.heappush(heap, i)
- 항상 문제를 모두 풀 수 있는 경우만 입력으로 주어지기 때문에 사이클이 발생하여
1번 조건을 만족할 수 없는 상황은 생각하지 않아도 된다. - 연결된 간선의 개수가 0인. 즉, indegree(인덱스)가 0인 노드를 heapq에 넣음으로 2번 조건을 만족한다.
- 최소힙의 속성 때문에 꺼낼 때 3번의 가능하면 쉬운 문제부터 푸는 조건을 만족한다.
728x90
'자료구조알고리즘 > 문제풀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진(이분) 탐색 공략법 (0) | 2023.07.01 |
---|---|
[백준][정렬] 11497 - 통나무 건너뛰기 (0) | 2023.05.24 |
[백준][구현][완전 탐색] 1233 - 주사위 (0) | 2023.05.08 |
[백준][구현] 10809 - 알파벳 찾기 (0) | 2023.05.08 |
[백준][이진탐색] 2805 - 나무 자르기 (0) | 2023.04.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