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OCR
- GIT
- MongoDB
- Sequelize
- 공룡게임
- 게임
- TypeScript
- 정렬
- JavaScript
- dfs
- nestjs
- Python
- jest
- nodejs
- 자료구조
- AWS
- class
- Nest.js
- Dinosaur
- typeORM
- mongoose
- game
- cookie
- Queue
- Bull
- react
- MySQL
- flask
- Express
- Today
- Total
목록시스템 콜 (2)
포시코딩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Sl4iL/btsdengOnHZ/a37VdkzuUR2KtXrjdLEC01/img.png)
키워드 fork, exec, wait, exit, 시스템 콜, 협력, IPC, message passing fork() 시스템 콜 부모 프로세스가 코드를 실행하다 fork()를 만나면 자식 프로세스가 생성됨 부모 프로세스는 이어서 밑의 코드 계속 실행 자식 프로세스는 새롭게 만들어졌지만 메인 함수의 처음부터 실행하는게 아니라 fork()를 실행한 그 이후부터 실행 부모 프로세스의 문맥(컨텍스트)를 그대로 복사하기 때문에 PC가 가리키는 곳 그대로 복사되어 fork()가 끝나는 시점부터 실행 ex) 한 사람이 복제되면 애기를 낳는게 아니라 똑같이 생긴 사람이 하나 만들어진다고 생각 만약 자식 프로세스가 원본이라고 주장하거나, 제어 흐름이 같은 경우를 대비해 부모와 자식을 구분해야 함 -> 부모 프로세스는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qfxFU/btsbDExJ1eO/nhYKLkKgRiN3wQ2f3Is2UK/img.png)
키워드 CPU, mode bit, interrupt, memory, timer, dma controller, i/o, system call 컴퓨터 시스템 구조 Computer CPU 매 클럭 사이클마다 메모리에서 인스트럭션(기계어)을 하나씩 읽어서 실행 PC(Program Counter) 레지스터가 다음번에 어디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하는지에 대한 주소를 가지고 있음 register CPU 안에는 메모리보다 더 빠르면서 정보를 저장하는 작은 공간인 register가 있다. mode bit 지금 CPU 안에서 실행되는 것이 운영체제인지 사용자 프로그램인지 구분해주는 역할 * 아래 내용의 이해를 돕기위해 표현하자면 CPU를 운영체제가 가지고 있는지, 사용자 프로그램이 가지고 있는지를 표시해준다. 0: 모니터 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