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mongoose
- Python
- jest
- MySQL
- Dinosaur
- Nest.js
- typeORM
- JavaScript
- 공룡게임
- TypeScript
- flask
- cookie
- react
- Bull
- OCR
- nodejs
- GIT
- 정렬
- 게임
- class
- Queue
- nestjs
- Sequelize
- game
- MongoDB
- AWS
- dfs
- 자료구조
- Express
- Today
- Total
목록RESTORE (2)
포시코딩
우선 mongodump 명령어를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나같은 경우도 docker를 통해서 mongodb를 사용하다보니 맥에서 해당 명령어가 없다고 나왔기에 설치를 진행했다. brew tap mongodb/brew brew install mongodb-database-tools dump mkdir backup mongodump --uri "mongodb://{username}:{password}@{ip or server address}:27017/{db_name}?authSource=admin" --out backup `backup` 이라는 폴더를 만든 후 거기에 해당 db dump를 넣게 되는데 bson 확장자 형태로 주르륵 들어간다. 여기서 내가 헤맸던 부분은 mongodb uri에 대해 쿼리스트링..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INmjt/btsrDDLLTLx/A9HvgUxpkVmKpXYEAiyzx0/img.png)
Dump database from Docker docker exec {container} /usr/bin/mysqldump -u {username} --password={password} {database} > {filename}.sql Restore database using Docker cat filename.sql | docker exec -i {container} /usr/bin/mysql -u {username} --password={password} {database_name} --verbose --verbose, -v: 커맨드가 실행되는 동안 어떤 작업이 진행되고 있는지 상세 정보를 출력 * mariadb일 경우 /usr/bin/mysql 대신 mariadb-dump를 쓰면 된다고 한다. 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