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공룡게임
- flask
- AWS
- MongoDB
- Python
- nodejs
- react
- GIT
- Express
- Dinosaur
- OCR
- MySQL
- 게임
- cookie
- jest
- nestjs
- Sequelize
- TypeScript
- Nest.js
- Queue
- 정렬
- dfs
- mongoose
- game
- JavaScript
- Bull
- class
- 자료구조
- typeORM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count() (1)
포시코딩
1월7일 - count, sort, sorted
Python count() str.count(x) list.count(x) str, list에 대해 x가 몇개 존재하는지 카운트 해주는 함수 sort(), sorted()의 매개변수 reverse=True(내림차순) 정렬할 때 쓰이는 sort()와 sorted()에 대해 매개변수를 주면 정렬하는 방식이 바뀐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num_list = [15, 22, 8, 79, 10] num_list.sort(reverse=True) print(num_list) # [79, 22, 15, 10, 8] 평소에는 default로 reverse=False가 되게끔 사용하여 오름차순이 되지만 reverse=True를 주면 내림차순이 되는걸 확인할 수 있다. key 정렬을 목적으로 하는 함수를 값으로 넣는다. ..
TIL
2023. 1. 7. 04: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