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Express
- nestjs
- MySQL
- Bull
- mongoose
- AWS
- OCR
- typeORM
- Queue
- 게임
- 정렬
- react
- 자료구조
- Dinosaur
- 공룡게임
- nodejs
- TypeScript
- jest
- game
- Nest.js
- GIT
- Sequelize
- JavaScript
- cookie
- Python
- MongoDB
- flask
- class
- dfs
- Today
- Total
목록lodash (2)
포시코딩
개요 lodash를 사용하며 _.isEmpty() 를 쓸 때와 _.isNil() 을 쓸 때가 헷갈려 정리해보았다. https://lodash.com/docs/4.17.15 Lodash Documentation _(value) source Creates a lodash object which wraps value to enable implicit method chain sequences. Methods that operate on and return arrays, collections, and functions can be chained together. Methods that retrieve a single value or may return a primiti lodash.com 공식 홈페이지를 참고했음..
onload vs addEventListener jQuery를 극혐하다보니 VanillaJS 상에서 window.onload = () => { //실행될 코드 } 이렇게 자주 써왔는데 window.addEventListener('DOMContentLoaded', () => { //실행될 코드 }) 이거랑 뭐가 다른지 궁금해서 비교해보았다. onload window.onload = () => { //실행될 코드 } 문서의 모든 컨텐츠(images, script, css, etc)가 로드된 후 발생하는 이벤트로 load 이벤트라고 불린다. 그냥 아무 생각 없이 써왔는데 여러 단점들이 존재했다. 문서에 포함된 모든 컨텐츠가 로드된 후에 실행되기 때문에 불필요한 로딩시간이 추가될 수 있다. 동일한 문서에 오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