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Nest.js
- nodejs
- typeORM
- cookie
- Python
- MySQL
- 정렬
- 공룡게임
- Bull
- nestjs
- class
- MongoDB
- Queue
- OCR
- Sequelize
- Express
- dfs
- 게임
- AWS
- jest
- game
- TypeScript
- JavaScript
- flask
- 자료구조
- mongoose
- GIT
- Dinosaur
- react
- Today
- Total
포시코딩
Linked List 구현 using class in Python (2) 본문
맨 뒤에 노드 추가하기
class Node:
def __init__(self, data):
self.data = data
self.next = None
class LinkedList:
def __init__(self, value):
self.head = Node(value)
저번 포스팅에서 LinkedList를 위해 위와 같은 클래스를 만드는 것 까지 했다.
이번에는 LinkedList의 맨 뒤에 새로운 Node를 붙이는 append 함수를 만들어보자
how?
현재 있는 노드의 가장 맨 뒤에 새로운 값을 가진 노드를 추가하면 된다. 끝
말로는 쉽지만 그러기 위해선 먼저 가장 맨 뒤의 노드까지 이동해야 한다.
head | ||||
[3] | -> | [5] | -> | [7] |
head를 변경시킬 수는 없으니 cur = self.head를 넣는다.
cur | ||||
[3] | -> | [5] | -> | [7] |
이동방법은 cur = cur.next를 통해 할 수 있다.
이걸 cur.next가 None이 될 때 까지 반복시키면 맨 마지막 노드에 도달할 수 있다.
cur | ||||
[3] | -> | [5] | -> | [7] |
cur | ||||
[3] | -> | [5] | -> | [7] |
코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class LinkedList:
def __init__(self, value):
self.head = Node(value)
def append(self, value):
cur = self.head
while cur.next is not None: # 마지막 노드는 next가 None인걸 이용
cur = cur.next # 끝까지 이동해서
cur.next = Node(value) # next로 새 노드를 연결해준다.
모든 노드 출력하기
위 코드를 응용하면 모든 노드의 데이터를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 ...생략
def print_all(self):
cur = self.head
while cur is not None:
print(cur.data)
cur = cur.next
# ...생략
index번째 노드 찾기
마찬가지로 index만큼 이동해서 찾으면 된다.
# ...생략
def get_node(self, index):
node = self.head
count = 0
while count < index:
node = node.next
count += 1
return node
# ...생략
index번째에 노드 추가하기
이번에는 원하는 위치에 노드를 추가해보자.
예시로 [3] -> [5] -> [7]이 있는 linkedList의 인덱스가 1인 위치에 Node(11)을 추가해보려고 한다.
그림으로 그려 나타내면 위와 같다. 중요한 부분은
① 에서 추가될 노드로 이전 노드에서 next를 통해 새 노드에 연결해주는 것과
② 에서 새로 연결된 노드가 원래 자리에 있던 기존 노드에 next를 연결해주는 부분이다.
코드를 살펴보자
# ...생략
def add_node(self, index, value):
new_node = Node(value)
if index == 0:
# 아래에 써있는 이유로 index-1 위치의 노드를 찾는 부분이 있는데
# index가 0일 경우는 문제가 생기므로 선처리 작업을 해줘야 한다.
new_node.next = self.head
self.head = new_node
# 이 부분이 헷갈릴 수 있는데 바로 self.head = new_node를 해버리면
# 기존 관계가 사라지기 때문에 먼저 지정해준 뒤 진행해야 한다.
return
node = self.get_node(index - 1)
# 위에서 만든 get_node를 활용해 index 위치의 노드를 찾는데,
# 해당 위치에 새 노드를 연결하려면 이전 노드에서 해야하므로 index-1의 위치의 노드를 찾는 것
next_node = node.next
# 새 노드가 연결된 후 새 노드의 next의 연결되야 하므로 잠깐 따로 저장해준다.
node.next = new_node # index-1 위치 다음에 새 노드 연결
new_node.next = next_node # 새 노드 다음에 기존 위치에 있던 노드 연결
# ...생략
주석으로 각 코드들에 대해 최대한 자세히 설명을 적어놓았으니 이해가 되지않는다면 참고하자.
index번째 노드 제거
이 경우도 그림으로 본다면 이해가 훨씬 쉽다.
# ...생략
def delete_node(self, index):
if index == 0:
self.head = self.head.next
return
node = self.get_node(index - 1)
node.next = node.next.next
# ...생략
바로 다음다음의 노드를 바라보게 해주는 방법을 통해 쉽게 구현 가능하다.
다만, 마찬가지로 index-1인 노드를 가져오는 과정이 있으므로 index가 0일 때를 생각해 미리 처리해줘야 한다.
'자료구조알고리즘 >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귀 함수 - 팩토리얼!, 회문 검사 (0) | 2022.11.24 |
---|---|
이진 탐색(Binary Search), 시간 복잡도 O(log N) (0) | 2022.11.24 |
Linked List 구현 using class in Python (1) (0) | 2022.11.23 |
Array(어레이), Linked List(링크드리스트) (0) | 2022.11.23 |
시간복잡도의 점근 표기법 (Big-O, Big-Ω) (0) | 2022.11.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