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class
- 게임
- Nest.js
- MySQL
- typeORM
- flask
- MongoDB
- dfs
- jest
- 공룡게임
- Queue
- JavaScript
- Express
- Sequelize
- nodejs
- 자료구조
- Python
- mongoose
- GIT
- cookie
- react
- TypeScript
- 정렬
- game
- AWS
- OCR
- Bull
- nestjs
- Dinosaur
- Today
- Total
포시코딩
HTTP, HTTPS, TCP, UDP - 작성중 본문
https://www.notion.so/HTTP-HTTPS-f27bad886a4c4cf1932384f41cd77b67
HTTP, HTTPS
👊 오늘 특강의 목표
www.notion.so
https://mangkyu.tistory.com/15
[TCP/UDP] TCP와 UDP의 특징과 차이
오늘은 네트워크의 계층들 중 전송 계층에서 사용하는 프로토콜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전송계층은 송신자와 수신자를 연결하는 통신서비스를 제공하는 계층으로, 쉽게 말해 데이터의
mangkyu.tistory.com
OSI 7계층,
HTTP, HTTPS,
TCP, UDP
나눠서 다시 정리 필요
tcp/ip
패킷 통신 기반
ip의 단점 때문에 tcp를 같이 사용함.
get은 query
나머지는 body에 넣어 보냄
https에 대칭키 비대칭키를 같이 융합해서 씀
OSI 7계층
통신: 요청 - 응답 (request - response)
브라우저에서 naver.com을 쓰면 무슨일이 일어날까
브라우저는 OS에 요청
Os 는 랜카드에 요청
랜카드는 IP공유기에 요청
IP공유기 -> 인터넷
인터넷 -> 네이버의 IP공유기(라우터)
여기서 DNS등의 처리가 이루어짐
라우터 -> OS
OS -> Web Server라는 프로그램 -> 요청에 의한 해당되는 데이터를 다시 Web Server 프로그램에 줌 -> 거꾸로 ㄱ
이렇게 이동하면서 뭔가를 조금씩 추가해나가는데
데이터에 뭔가를 조금씩 붙이는 역할이 OSI 7계층
데이터 링크: 내부 통신할 때의
트랜스포트 레이어
네트워크
DNS 도메인을 IP로 바꿔서 알려준다
DNS를 아주 쉽게 접하는 방법중 하나는 내 컴퓨터에 있는 hosts 파일
우리가 '말'을 통해 의사 표현을 하듯 모든 컴퓨터는 '네트워크'를 통해 의사 표현을 한다고 볼 수 있다.
현실 세계에서 '말'은 의사 표현의 수단이며, '언어'(ex.한국어)는 의사 표현의 방법이다.
그리고 디지털 세계에서는 '네트워크'가 의사 표현의 수단이고, '통신 규약'(ex.HTTP)이 의사 표현의 방법이다.
의사 표현의 수단: (현실 세상) 말 <-> (디지털 세상) 네트워크
의사 표현의 방법: (현실 세상) 언어 <-> (디지털 세상) 통신 규약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켓(socket), socket.io (0) | 2022.12.26 |
---|---|
TCP, UDP (0) | 2022.12.26 |
HTTP 상태 코드 예시 (0) | 2022.12.13 |
Web Server vs WAS - 작성중 (0) | 2022.12.12 |
내 웹페이지를 다른 컴퓨터에서 접속하는 방법 (JSP, 포트포워딩, LG유플러스)(톰캣으로 구축한 서버 외부에서 접속하는법) (5) | 2018.06.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