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flask
- 정렬
- Dinosaur
- nestjs
- class
- MongoDB
- AWS
- react
- 자료구조
- 공룡게임
- MySQL
- typeORM
- Nest.js
- game
- Bull
- 게임
- OCR
- TypeScript
- jest
- cookie
- mongoose
- Queue
- Python
- nodejs
- JavaScript
- Express
- dfs
- GIT
- Sequelize
- Today
- Total
포시코딩
1월14일 - 스터디 준비 본문
팀 스터디
개요
이전에 한 달 동안 구해조 팀에 있을 때 그 한 달을
따로 공부하는 기간 3주 + 팀프로젝트 기간 1주로 보냈는데
3주동안 거의 소통도 안하고서 팀프로젝트 기간으로 진입하고나니
팀프로젝트를 제대로 수행할 능력이 되지 않는 팀원들이 몇몇 있다는걸 깨달았다.
그 때는 깨닫게 된게 너무 늦어
부족한 팀원을 이끌 능력 부족 + 알려줄 시간 부족으로 인해 거의 방치하게 됐었다.
결과적으로 그 분들은 팀프로젝트에서 할 수 있는게 거의 없었고
팀 자체적으로도 4명중 2명이서만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상황이 발생해 매우 난감했었다.
때문에 새롭게 팀이 바뀌고 나서 바로 팀원들의 현재 수준을 파악했는데
마찬가지로 5명중 잘 못따라오는 분들이 계셨고
그나마 잘 하는 분들도 팀프로젝트에 앞서 어떤 부분에 대해 더 공부하고 싶다, 이게 부족하다.
라는 의견들 또한 받을 수 있었다.
그래서 우린 스터디를 진행하기로 했다.
매일매일 오후 4시반에 모여 돌아가면서 오늘 새롭게 공부한 것, 팀원들이 알면 좋을 것들에 대해 공유하였고
주말 하루 다같이 모여 부족한 부분에 대해 그나마 잘 아는 내가 가르쳐주는걸로 결정되었다.
이번주 9일에 팀이 결성되고나서 바로 스터디를 시작했고 지금까지는 순조로운 상태다.
주말 스터디
팀프로젝트 시작전 제대로 공부하기로 한 주제들은 다음과 같다.
- 계층형 아키텍처 구조로 서버 구성하기
- git - pull request와 merge 확실히 사용해보기
- jwt/쿠키/세션을 통한 로그인 방법
- 테스트 코드 마스터하기
- jira 활용해보기
그중 첫 번째로 계층형 아키텍처 구조에 대한 개념을 바로 짚고 넘어가기로 했다.
방법으로는 그나마 잘 수행된 내 이전 팀프로젝트의 github 주소를 공유하고
다른 팀원들은 직접 서버를 실행해보며 코드를 리뷰하는 방식을 택했다.
https://boleesystem.tistory.com/510
[팀스터디] 남의팀 플젝 뜯어보기(키보드를 구해조 - 포시코딩님)
가. 아 파일분리 정신혼미해 백엔드 파일 순서(users 관련) 1. server.js 2. app.js 3. index.js 4. users.routes.js 5. output.routes.js : 콘트롤러 output 모음 + render(authMiddleware) 6. users_output.controller.js : render 코드 모음
boleesystem.tistory.com
해보니 리뷰어는 다른 팀이 어떤 방식으로 프로젝트를 구성하는지 파악할 수 있었고
프로젝트 만든이는 부족한 부분들에 대해 피드백을 받을 수 있는 두가지 장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여기서 그치지 않고 나는 이미 난잡한 코드들로 이루어진 프로젝트 보단
구조가 잘 설계된 빈 깡통 프로젝트를 마련해 설명해주는게 좋겠다는 생각이 들어
바로 만들어서 공유를 했다.
https://github.com/cchoseonghun/nodejs_basic_structure
GitHub - cchoseonghun/nodejs_basic_structure: Node.js Project Basic Structure - with. Layered Architecture Pattern
Node.js Project Basic Structure - with. Layered Architecture Pattern - GitHub - cchoseonghun/nodejs_basic_structure: Node.js Project Basic Structure - with. Layered Architecture Pattern
github.com
api 흐름들에 대해 console.log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해봤는데
어떤지는 내일 진행하고나서 알게 될 것 같다.
느낀점
이전 팀프로젝트에서 참여를 거의 못한 두 분에 대해
하려는 의지가 잘 안느껴져 나도 힘이 빠지고
왜 이걸 이해를 못하지? 라는 생각이 먼저 들었었는데
이번 팀에서 미리미리 실력을 파악하고
부족한 부분에 대해 지원해주겠다고 으쌰으쌰하는 분위기를 만드니
다들 배우고자 하는 의지를 엿볼 수 있었다.
팀프로젝트 시작전의 긴 기간동안 왜 챙겨 오지 못했지란 후회를 많이 했었는데
지금 하는 노력들로 인해
이번 팀프로젝트에서는 적어도 그런 후회를 하지 않을 것 같다.
'T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1월16일 - session, jwt, OAuth (0) | 2023.01.16 |
---|---|
1월15일 (0) | 2023.01.15 |
1월13일 - throw & try/catch 예외처리(Exception Handling) (0) | 2023.01.13 |
1월12일 (0) | 2023.01.12 |
1월11일 - MySQL, CSS (0) | 2023.0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