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Express
- dfs
- nestjs
- OCR
- JavaScript
- 정렬
- class
- Python
- Bull
- jest
- Nest.js
- Sequelize
- 게임
- AWS
- Queue
- game
- react
- MySQL
- 공룡게임
- Dinosaur
- TypeScript
- GIT
- MongoDB
- nodejs
- flask
- typeORM
- 자료구조
- cookie
- mongoose
Archives
- Today
- Total
포시코딩
[운영체제] 9. File Systems (2) 본문
728x90
키워드
contiguous allocation, linked allocation, indexed allocation, unix file system, fat file system, free-space management, directory implementation, vfs, nfs, page cache, buffer cache
Allocation of File Data in Disk
- Contiguous Allocation (연속 할당)
- Linked Allocation (연결 할당)
- Indexed Allocation (인덱스로 할당)
- Disk에 file 저장 시 보통 동일한 크기의 섹터 단위로 나누어 저장
- 파일 시스템이나 disk 외부에서 볼 때 각각의 동일한 크기의 저장 단위를 논리적인 블럭이라 부른다.
- 즉, 임의의 크기의 파일을 임의의 크기의 블럭 단위로 나누어 저장
-> 메모리 관리의 페이징 기법과 유사
Contiguous Allocation
(=연속 할당)
- 하나의 file이 disk 상에 연속해서 저장되는 방법
단점
- external fragmentation
-> 외부 조각이 생길 수 있음 - File grow(파일 크기의 증가)가 어려움
- file 생성 시 얼마나 큰 hole을 배당할 것인가?
- grow 가능 vs. 낭비 (internal fragmentation)
장점
- Fast I/O
- 한 번의 seek/rotation으로 많은 바이트 transfer
- Realtime file 용으로, 또는 이미 run 중이던 process의 swapping 용
- Direct access(=random access) - 직접 접근 가능
Linked Allocation
(=연결 할당)
- 파일의 데이터를 디스크에 연속적으로 배치하지 않고 빈 위치면 아무데나 들어갈 수 있게 배치
장점
- External fragmentation (외부 조각) 발생 안 함
단점
- Direct access(직접 접근)이 되지 않음
- No random access
- Reliability 문제
-> 한 sector가 고장나 pointer가 유실되면 많은 부분을 잃음 - Pointer를 위한 공간이 block의 일부가 되어 공간 효율성을 떨어뜨림
-> 512 bytes/sector, 4 bytes/pointer
변형
- File-Allocation Table(FAT) 파일 시스템
-> 포인터를 별도의 위치에 보관하여 reliability와 공간효율성 문제 해결
Indexed Allocation
장점
- External fragmentation(외부 조각)이 발생하지 않음
- Direct access 가능
단점
- 아무리 작은 사이즈라 하더라도 block이 두 개 필요 (index, 실제 데이터 저장)
-> Small file의 경우 공간 낭비 (실제로 많은 file들이 작다.) - Too large file의 경우 하나의 block으로 index를 저장하기에 부족
-> 해결방안- linked schema
- multi-level index
UNIX 파일시스템의 구조
- 어떤 파일시스템이든 Boot block이 항상 제일 앞에 나옴 -> 약속
- UNIX 파일시스템의 경우 디렉토리는 메타데이터를 지극히 일부분만 가지고 있고
실제 파일의 메타데이터는 별도의 위치에 보관 -> Inode list(Index node) - 파일의 메타데이터를 전부 Inode가 가지고 있지 않고 딱 한가지, 파일의 이름은 디렉토리가 직접 가지고 있음
즉, directory는 file 이름과 Inode 번호를 가지고 있다. - inode의 크기는 고정 -> 위치 정보를 나타내는 pointer 개수도 유한함
- 하지만 큰 파일도 표현할 수 있어야 한다. -> direct blocks, single indirect, ... 을 통해 위치 정보를 구성
- 파일 크기가 굉장히 작은 데이터는 direct index만을 가지고 표현 가능
- 대단히 큰 파일인 경우 indirect를 이용해 표현
-> single indirect는 따라가면 index block이 있고 거기엔 pointer가 위치
-> 더 큰 파일은 double, triple, ...
FAT File System
- file의 메타데이터 중 일부를 FAT에 보관(대부분이 아닌 지극히 제한적인 위치 정보)
- 나머지 메타데이터는 directory가 가지고 있다.
- FAT이라는 배열의 크기는 디스크가 관리하는 Data block의 개수만큼임
- FAT에는 해당 블록의 다음 블록을 번호로 저장
- 직접 접근 가능
-> FAT을 메모리에 올려놓고 원하는 위치를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 FAT은 중요한 정보기 때문에 디스크에 두카피 이상 저장
-> Reliability 문제 개선
Free-Space Management
(=빈 블럭 관리)
- 위에서 file의 할당된 데이터들을 관리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봤다면, 중간중간 비어있는 블럭들은 어떻게 관리하면 좋을까?
- Bit map or bit vector
- Linked list
- Grouping
- Counting
Bit map or bit vector
- Bit map은 부가적인 공간을 필요로 함
- 연속적인 n개의 free block을 찾는데 효과적
Linked list
- 모든 free block들을 링크로 연결(free list)
- 비어있는 블럭의 첫번째 위치만 포인터로 가지고 있음
- 공간의 낭비가 없음
- 연속적인 가용 공간을 찾는 것이 쉽지 않다.
Grouping
- linked list 방법의 변형
- 첫번째 free block이 n개의 pointer를 가짐
- n-1 pointer는 free data block을 가리킴
- 마지막 pointer가 가리키는 block은 또 다시 n pointer를 가짐
- 연속적인 빈 블럭을 찾기에 효과적이진 않음
Counting
- 프로그램들이 종종 여러 개의 연속적인 block을 할당하고 반납한다는 성질에 착안
- (first free block, # of contiguous free blocks)을 유지
Directory Implementation
(=디렉토리 구현)
- 디렉토리란 해당 디렉토리 밑에 있는 파일의 메타데이터를 관리하는 특별한 파일
- 내용을 저장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Linear list
- <file name, file의 metadata>의 list
- 순차적으로 저장
- 메타데이터의 크기를 고정
- 구현이 간단
- but, 디렉토리 내에 특정 파일을 찾기 위해서 linear search 필요(time-consuming)
-> 비효율적
Hash Table
- linear list + hashing
- Hash table은 file name을 이 파일의 linear list의 위치로 바꾸어줌
- file의 해시 함수의 결과값에 해당하는 엔트리에 해당 파일의 메타데이터를 저장
- search time을 없앰
- Collision 발생 가능
VFS and NFS
Virtual File System(VFS)
- 서로 다른 다양한 file system이 있지만
사용자 입장에서는 동일한 시스템 콜 인터페이스(API)를 통해 접근할 수 있게 해주는 OS의 layer
Network File System(NFS)
- 분산 시스템에서는 네트워크를 통해 파일이 공유될 수 있음
- NFS는 분산 환경에서의 대표적인 파일 공유 방법이다.
Page Cache and Buffer Cache
- virtual memory 관점에선 page cache, 파일시스템 관점에선 buffer cache라 부른다.
- 관리하는 방법이 다르다.
Page Cache
- Virtual memory의 paging system에서 사용하는 page frame을 caching의 관점에서 설명하는 용어
- Memory-Mapped I/O를 쓰는 경우 file의 I/O에서도 page cache 사용
Memory-Mapped I/O
- File의 일부를 virtual memory에 mapping 시킴
- 매핑시킨 영역에 대한 메모리 접근 연산은 파일의 입출력을 수행하게 함
Buffer Cache
- 파일시스템을 통한 I/O 연산은 메모리의 특정 영역인 buffer cache 사용
- File 사용의 locality 활용
-> 한번 읽어온 block에 대한 후속 요청 시 buffer cache에서 즉시 전달 - 모든 프로세스가 공용으로 사용
- Replacement algorithm 필요(LRU, LFU 등)
Unified Buffer Cache
- 최근의 OS에서는 기존의 buffer cache가 page cache에 통합됨
-> ex. 리눅스 - buffer cache도 page 단위로 관리를 한다로 알면 편함
- 운영체제에서 물리적인 메모리를 관리하는 루틴에 page cache와 buffer cache를 같이 관리한다는 의미
-> 합쳐졌다고 해서 관리할 수 있는 방법이 달라지는게 아님
728x90
'CS (Computer Scien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운영체제] 9. File Systems (1) (0) | 2023.05.25 |
---|---|
[운영체제] 8. Virtual Memory (2) (0) | 2023.05.23 |
[운영체제] 8. Virtual Memory (1) (0) | 2023.05.18 |
[운영체제] 7. Memory Management (5) - 정리 (0) | 2023.05.17 |
[운영체제] 7. Memory Management (4) (0) | 2023.05.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