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AWS
- nodejs
- 정렬
- TypeScript
- typeORM
- 자료구조
- Sequelize
- 공룡게임
- cookie
- mongoose
- jest
- Queue
- OCR
- nestjs
- react
- Express
- 게임
- MongoDB
- game
- MySQL
- Dinosaur
- Nest.js
- flask
- GIT
- Bull
- Python
- class
- JavaScript
- dfs
- Today
- Total
목록세션 (3)
포시코딩

쿠키(Cookie) 브라우저가 서버로부터 응답으로 Set-Cookie 헤더를 받은 경우 해당 데이터를 저장한 뒤 모든 요청에 포함하여 보낸다. 데이터를 여러 사이트에 공유할 수 있기 때문에 보안에 취약할 수 있다. 쿠키는 userId-user-1321;userName=abcd 와 같이 문자열 형식으로 존재하며 쿠키 간에는 세미콜론(;)으로 구분된다. 쿠키(Cookie) 만들어보기 서버가 클라이언트의 HTTP 요청(Request)을 수신할 때, 서버는 응답(Response)과 함께 Set-Cookie 헤더를 전송할 수 있다. 그 후, 쿠키는 해당 서버에 의해 만들어진 응답(Response)과 함께 Cookie HTTP 헤더 안에 포함되어 전달받는다. Set-Cookie를 이용해 쿠키 할당하기 app.get..

이전 글에서 로그인 기능을 완성했다면 로그인 후 세션에 유저정보가 잘 저장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시간을 가져보자 마이페이지 대충 만들어서 들어가면 유저아이디 나오나 확인할거임 mypage.ejs 를 만들자 님의 마이페이지입니다. member.js 로 와서 mypage 로 가는 라우팅을 해주자 router.get('/mypage', loginCheck, (req, res)=>{ res.render('mypage.ejs', {userSession: req.user}); }) 평소에 만들던 라우터와 살짝 다른걸 볼 수 있는데 {userSession: req.user} 는 userSession 이라는 이름으로 세션에 담긴 유저정보를 보낸다는 의미이고 '/mypage' 옆 loginCheck 는 마이페이지로 가기전..
로그인은 Node.js Express 의 인증 미들웨어인 Passport.js 를 이용해 구현할거임 먼저 설치 ㄱㄱ npm install passport passport-local express-session member.js const passport = require('passport'); const LocalStrategy = require('passport-local').Strategy; const session = require('express-session'); var router = require('express').Router(); router.use(session({secret:'비밀코드', resave: true, saveUninitialized: false})); // '비밀코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