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Sequelize
- cookie
- dfs
- react
- jest
- Nest.js
- 게임
- game
- nodejs
- MySQL
- 정렬
- Queue
- Express
- AWS
- JavaScript
- 자료구조
- 공룡게임
- Python
- nestjs
- GIT
- Dinosaur
- TypeScript
- flask
- Bull
- mongoose
- MongoDB
- class
- typeORM
- OCR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Hash table (1)
포시코딩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cjx26x/btsnS03quJ7/kB75qe2DIvP5pmRg7rPK81/img.png)
개요 자료구조를 공부할 때 파이썬이 다루기 쉽다해서 자료구조, 알고리즘은 파이썬으로만 해왔는데 얼마전, 토스 코딩테스트에서 node.js 부문에 대해 문제를 봤을 때 오로지 JavaScript로만 풀 수 있게 되있는걸 볼 수 있었다. 문제를 풀 수 있고 없고를 떠나, 앞으로 node.js 관련 개발을 베이스로 깔고 갈텐데 자료구조나 알고리즘을 JavaScript로 다루지 않는다는게 좀 웃긴거 같아서 당분간은 죽이되든 JavaScript로 연습해볼 생각이다. Queue class Node { constructor(data) { this.data = data; this.next = null; } } class Queue { constructor() { this.head = null; this.tail = n..
TIL
2023. 7. 17. 0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