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TypeScript
- dfs
- game
- class
- Python
- react
- nodejs
- Queue
- 정렬
- Express
- Nest.js
- MySQL
- OCR
- cookie
- MongoDB
- nestjs
- mongoose
- 게임
- Sequelize
- 자료구조
- typeORM
- Dinosaur
- jest
- Bull
- flask
- JavaScript
- AWS
- 공룡게임
- GIT
- Today
- Total
목록linkedlist (4)
포시코딩
Queue FIFO queue = [] def enqueue(data): queue.append(data) def dequeue(): data = queue[0] del queue[0] return data for i in range(1, 10): enqueue(i) print(queue) print('dequeue: ', dequeue()) print('dequeue: ', dequeue()) print(queue) Stack LIFO stack = [] def push(data): stack.append(data) def pop(): data = stack[-1] del stack[-1] return data for i in range(1, 10): push(i) print(stack) print('..
맨 뒤에 노드 추가하기 class Node: def __init__(self, data): self.data = data self.next = None class LinkedList: def __init__(self, value): self.head = Node(value) 저번 포스팅에서 LinkedList를 위해 위와 같은 클래스를 만드는 것 까지 했다. 이번에는 LinkedList의 맨 뒤에 새로운 Node를 붙이는 append 함수를 만들어보자 how? 현재 있는 노드의 가장 맨 뒤에 새로운 값을 가진 노드를 추가하면 된다. 끝 말로는 쉽지만 그러기 위해선 먼저 가장 맨 뒤의 노드까지 이동해야 한다. head [3] -> [5] -> [7] head를 변경시킬 수는 없으니 cur = self.he..
js 또는 java에서의 class에 대한 기초 지식이 있다는 가정하에 작성된 글입니다. class in Python 파이썬에서는 생성자 함수의 이름이 __init__ 으로 고정되어 있다. 생성 시 생기는 self는 객체 자기 자신을 가리킨다. 파라미터를 따로 넣을 필요 없이 알아서 넣어줌 class Person: def __init__(self): print('hi') person = Person()# hi가 출력됨 추가로 아래처럼 self를 사용해서 객체에 데이터를 쌓을 수 있다. class Person: def __init__(self, param_name): self.name = param_name 메소드를 추가할 때도 self가 자동으로 붙는데 만들어보면 다음과 같다. class Person: ..
개요 들어가기에 앞서, 자료구조를 왜 배워야할까? 특정 자료구조는 삽입/삭제가 빠르고 특정 자료구조는 조회가 빠르다. 이처럼, 어떤 경우에는 이 자료구조가 좋고, 어떤 경우에는 저 자료구조가 좋은 것 처럼 경우에 따라 다양한 자료구조와 알고리즘을 사용해야 한다. 이번 포스팅에선 자료구조 중 Array와 Linked list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특징 어레이(Array) = 배열 배열은 크기가 정해진 데이터의 공간이다. 한 번 정해지면 바꿀 수 없음 배열은 각 원소에 즉시 접근할 수 있다. ex) arr[0] 여기서 원소의 순서는 0부터 시작하고 이를 인덱스라고 부른다. 이 때, 즉시 접근 가능하다는 말은 상수 시간 내에 접근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O(1) 내에 접근 할 수 있다고 말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