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typeORM
- Python
- mongoose
- cookie
- Express
- Dinosaur
- AWS
- nodejs
- nestjs
- 게임
- Bull
- react
- OCR
- TypeScript
- MongoDB
- jest
- flask
- dfs
- class
- Queue
- JavaScript
- 자료구조
- Sequelize
- MySQL
- game
- 공룡게임
- 정렬
- Nest.js
- GIT
Archives
- Today
- Total
포시코딩
Hash table(해시 테이블) - Chaining, Linear probing 본문
728x90
Chaining
데이터 추가 함수
hash_table = list[0 for i in range(8)]
def get_hash(data):
return hash(data)
def get_address(hash):
return hash % 8
def save_data(data, value):
hash_key = get_hash(data)
hash_address = get_address(hash_key)
if hash_table[hash_address] != 0:
for i in range(len(hash_table[hash_address])):
if hash_table[hash_address][i][0] == hash_key: # 같은 hash의 키로 데이터가 있을 경우
hash_table[hash_address][i][1] = value # value 업데이트
return
hash_table[hash_address].append([hash_key, value]) # for문을 돌았는데 같은 hash의 키로 된 데이터가 없다면 append로 추가
else:
hash_table[hash_address] = [[hash_key, value]] # 해당 hash_address에 데이터가 없다면 0만 들어있을테니 hash_key, value를 list화 시켜서 삽입
데이터 찾기
def read_data(data):
hash_key = get_hash(data)
hash_address = get_address(hash_key)
if hash_table[hash_address] != 0:
for i in range(len(hash_table[hash_address])):
if hash_table[hash_address][i][0] == hash_key:
return hash_table[hash_address][i][1]
return None
else:
return None
Linear Probing 기법 (추가예정)
- 폐쇄 해싱 또는 Close Hashing 기법 중 하나
- 해시 테이블 저장공간 안에서 충돌 문제를 해결하는 기법
- 충돌이 일어나면, 해당 hash address의 다음 address부터 맨 처음 나오는 빈 공간에 저장하는 기법
- 저장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SHA
위에선 파이썬의 hash 함수를 썼는데
실행할 때마다 값이 달라질 수 있다는 단점이 존재
유명한 대체 해시 함수들이 존재하니 이걸 써도 됨
SHA(Secure Hash Algorithm)
- 어떤 데이터도 유일한 고정된 크기의 값으로 리턴해주므로, 해시 함수로 유용하게 활용 가능
SHA-1
import hashlib
data = 'test'.encode()
hash_object = hashlib.sha1()
# hash_object.update(data)
hash_object.update(b'test') # encode()를 쓰거나 이렇게 b'test'를 써서 바이너리로 변경
hex_dig = hash_object.hexdigest() # 16진수로 변환
print(hex_dig)
SHA-256
import hashlib
data = 'test'.encode()
hash_object = hashlib.sha256()
# hash_object.update(data)
hash_object.update(b'test') # encode()를 쓰거나 이렇게 b'test'를 써서 바이너리로 변경
hex_dig = hash_object.hexdigest()
print(hex_dig)
이걸 토대로 위에서 사용했던 hash 함수를 sha-256을 쓰는걸로 바꿔보자
import hashlib
def get_key(data):
hash_object = hashlib.sha256()
hash_object.update(data.encode())
hex_dig = hash_object.hexdigest()
return int(hex_dig, 16) # hex_dig는 16진수 문자열이기 때문에 10진수 정수형으로 변환
시간복잡도
일반적인 경우(Collision이 없는 경우): O(1)
최악의 경우(Collision이 모두 발생하는 경우): O(n)
* 하지만 해시 테이블은 일반적인 경우를 기대하고 만들기 때문에 시간 복잡도는 O(1)이라고 말할 수 있다.
검색에서 해시 테이블의 사용 예)
- 16개의 배열에 데이터를 저장하고, 검색할 때 O(n)
- 16개의 데이터 저장공간을 가진 위의 해시 테이블에 데이터를 저장하고, 검색할 때 O(1)
728x90
'자료구조알고리즘 >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힙(Heap) (0) | 2023.04.12 |
---|---|
Tree(트리) (0) | 2023.04.12 |
일차함수(직선)의 기울기 공식 (0) | 2022.12.19 |
최대공약수와 최소공배수의 관계 (유클리드 호제법) (0) | 2022.12.18 |
이중 for문의 시간복잡도 (0) | 2022.12.12 |